HACCP이란?
위해분석(HA : 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
(CCP : Critial Control Point)을 합친 단어로,
식품의 위생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1995년 식품위생법에 해당 조항이 신설되었습니다
현재는 식품과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 기준에
명시하고 있습니다.
해썹 컨설팅, 대한민국 어디든 원스톱으로!
K-HACCP의 컨설팅은 인증, 시공, 사후관리까지
전국구로 이루어집니다.
꼼꼼한 기업별 맞춤 분석·진단 10단계를 거쳐
해썹 인증 획득을 지원합니다.
STEP 1
장소의 공법상 인허가
제한 여부 분석
STEP 2
해썹 동선 반영
설계 도면 작성
STEP 3
제조업장 시공,
제조설비 입고
해썹 원스톱 컨설팅 인증 절차
해썹 7원칙
1. 위해요소분석
- 원료, 공정별 화학적/생물학적 위해
요소와 발생 원인 분석
- 파악한 잠재적 위해 요소 평가
- 위해 요소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안전한
수준으로 예방
2. 중요관리점(CCP) 결정
위해 요소 분석 단계에서 파악한 요소를
예방 및 제거 혹은 허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감소하는 최종 단계
3. 중요관리점(CCP)
한계 기준 설정
한계 기준은 법적 기준에 맞게 설정해야 함,
기준이 없을 시 기준에 관한
근거 자료를 확보해 자체적 기준으로 설정
4. CCP 모니터링 체계
중요관리점에 해당하는 공정이 한계
기준에 맞게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모니터링 체계를 만들어 관리하는 단계.
담당자의 충분한 업무 능력이 요구됨
5. 개선조치 방법 수립
모니터링 단계에서 한계 기준을 벗어난 경우
신속 대응 조치를 사전 설정하는 단계.
한계 기준을 벗어난 식품에 대한
조치 사항, 공정 상태 원상 복구,
한계 기준 이탈에 대한 원인 파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 포함 필요
6. 검증 절차 및 방법 수립
해썹 시스템이 올바르게 실행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검증 절차 설정.
연 1회 이상 실시해야 하며,
제조 공정 또는 배치가 변경되었을 때에도 실시
7. 문서와 기록 및 유지
해썹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기록 / 유지
하기 위해 문서화 하는 단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서식을 체계화 해야 함
위해분석(HA : 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CCP : Critial Control Point)을 합친 단어로,
식품의 위생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1995년 식품위생법에 해당 조항이 신설되었습니다
현재는 식품과 축산물 안전관리 인증 기준에 명시하고 있습니다.
K-HACCP의 컨설팅은 인증, 시공, 사후관리까지 전국구로 이루어집니다.
꼼꼼한 기업별 맞춤 분석·진단 10단계를 거쳐 해썹 인증 획득을 지원합니다.
- 원료, 공정별 화학적/생물학적 위해 요소와 발생 원인 분석
- 위해 요소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안전한 수준으로 예방
위해 요소 분석 단계에서 파악한 요소를 예방 및 제거
혹은 허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감소하는 최종 단계
3. 중요관리점(CCP) 한계 기준 설정
기준이 없을 시 기준에 관한 근거 자료를 확보해
자체적 기준으로 설정
중요관리점에 해당하는 공정이 한계 기준에 맞게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모니터링 체계를 만들어 관리하는 단계.
한계 기준을 벗어난 식품에 대한 조치 사항, 공정 상태 원상 복구,
한계 기준 이탈에 대한 원인 파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 포함 필요
해썹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기록/유지하기 위해 문서화 하는 단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서식을 체계화 해야 함